음악학자 더글라스 셰이들(Douglas W. Shadle)의 신간 『안토닌 드보르자크의 ‘신세계’ 교향곡』을 읽고 있다. 영국 옥스퍼드대학출판사에서 2017년부터 발간하고 있는 ‘옥스퍼드 키노트’(Oxford Keynotes) 시리즈의 13번째 책. 느닷없이 드보르자크와 ‘신세계’ 교향곡에 관심을 갖게 된 건 아니고. 음악학 허물기 독자(혹은 뉴스레터 구독자)라면 알겠지만 유튜브에서 ‘한 편의 글이 완성되기까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주제는 비디오 게임 〈바이오쇼크 인피니트〉(BioShock Infinite, 2013)의 음악과 노스탤지어.… Continue reading 드보르자크의 ‘신세계’ 교향곡
Tag: book review
음악의 서술
예술가의 산문이 언제나 읽을 만한 것은 아니다. 이력을 나열하고 취향을 전시하고 편견을 고집하는 글들도 많다. 그러나 일가를 이룬 장인들의 산문은 대체로 기대를 배반하지 않는다. 지난한 숙련의 나날을 지불해야만 되돌려 받을 수 있는 경험적 통찰들이 정직하게 글을 떠받치기 때문이다. 생을 헐어 쓴 글의 힘이다. —위화, 『문학의 선율, 음악의 서술』, 〈추천의 글〉 중에서 “생을 헐어” 가며 글을… Continue reading 음악의 서술
음악은 소유할 수 있는가? 『검은 바이올린』
얼마 전 번역, 출간된 프랑스 소설 『검은 바이올린』(Le Violon noir, 1999)을 읽었다. 막상스 페르민(Maxence Fermine)은 이번에 처음 알게 된 작가. 프랑스 문학(특히 ‘1950년대 이후’ 프랑스 문학)과는 잘 맞지 않아 멀리하는 편이지만 음악을 소재로 다룬 소설은 빠짐없이 읽으려고 한다. 별다른 고민 없이 집어 든 소설의 내용은 대략 이렇다. 때는 18세기 말 유럽. 바이올린이 전부인 소년 요하네스… Continue reading 음악은 소유할 수 있는가? 『검은 바이올린』
솔라리스에 각인된 바흐의 시간
러시아의 영화 감독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Andrei Tarkovsky, 1932–86)의 『시간의 각인』(1986) 개역판이 나왔다. 일찌감치 『봉인된 시간』이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어 있었지만 독일어 번역본을 중역(重譯)한 것이어서 영문판과 비교해 가며 봐야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개정판’이라면 고민이라도 했을 텐데 ‘안드레이 타르콥스키 재단 공식 완역본’이라니. 더 이상의 고민은 배송만 늦출 뿐. 마침 얼마 전 구입한 토비아스 폰타라의 저서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의 공명하는 영화: 음악과… Continue reading 솔라리스에 각인된 바흐의 시간
E. M. 포스터와 음악
대만의 음악학자 충한 차이(Tsung-Han Tsai)의 신간 『E. M. 포스터와 음악』은 험프리 제닝스(Humphrey Jennings, 1907–1950)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티모시를 위한 일기》(A Diary for Timothy, 1945)의 한 장면을 묘사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라디오 뉴스를 틀어 놓고 시간을 보내는 평범한 가정의 모습이 보입니다. 잠시 후 ‘열정’(Appassionata)이라는 부제로 친숙한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F단조, Op. 57의 1악장이 흘러나옵니다. 음악회 프로그램이 카메라에… Continue reading E. M. 포스터와 음악
실내악으로 편곡된 베토벤 교향곡
음악학자 낸시 노벰버(Nancy November)의 신간 『실내악으로 편곡된 베토벤 교향곡』을 읽고 있습니다. 지금은 베토벤 교향곡을 듣고 싶으면 유튜브나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합니다. 굳이 음악회에 가지 않아도 언제 어디서든 들을 수 있지요. LP나 CD로 감상하는 분들도 여전히 많습니다. 하지만 19세기 초에 살고 있다고 생각해 보세요. 1877년 토머스 에디슨(Thomas Edison, 1847–1931)이 축음기(phonograph)를 발명하기 이전 음악을 감상하려면 다른 이의 연주를… Continue reading 실내악으로 편곡된 베토벤 교향곡
“분석 안 되는 것들”에 대해 말하는 법
1. 포스팅 제목의 “분석 안 되는 것들”은 기시 마사히코의 저서 『단편적인 것의 사회학』 머리말의 제목이다. 일본에서는 2015년에 출간되었고 우리말 번역은 2016년 말에 나왔으니 그리 오래되지 않았고 그렇다고 아주 신간도 아니지만 호평 일색인 “이 자그마한 책”에 대해 알게 된 지는 이제 한 달 정도다. 2. 잠자리 독서용으로 구입한 (전자)책인데 딱 이틀 만에 잠자리에서 읽을 책은 아니라는… Continue reading “분석 안 되는 것들”에 대해 말하는 법
“적·의를 보이는 것·들”
1. 괴상한 제목이다. 적의敵意? 싸우자는 건가? 아니다. 글쓰기 얘기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교정·교열에 관한 이야기다. 2. “적·의를 보이는 것·들”은 지금 읽고 있는 김정선 작가의 책 『내 문장이 그렇게 이상한가요?』(파주: 유유, 2015)의 장章 제목이다. 인터넷 서점 알라딘에서 국내 1인 출판의 대표격인 유유 출판사가 하계 브랜드전을 진행하고 있어 한 달 전쯤 저렴하게 구입한 책 중 하나다. 3. 글을… Continue reading “적·의를 보이는 것·들”
라캉과 ‘응시’, 그리고 소리연구
John Mowitt, Sounds: The Ambient Humanities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5). 제목과 출판사 소개만 보고 찜했다가 (전자책 샘플이 제공하는) 서문을 읽어 본 후에는 흥분을 감추지 못하고 구입한 책이다. 일단 제목에 복수형—“소리들”(sounds)—을 사용한 것부터 거슬린다. “소리”를 다향한 방식으로 정의하고 다각도로 살펴보겠다는 의도가 엿보인다. 출판사에서 제공하는 책 소개는 또 어떻고? 첫 문장부터 “이 책은 소리에 관한 책이 아니”란다. 제목에 “소리”를… Continue reading 라캉과 ‘응시’, 그리고 소리연구
타루스킨과 반스의 쇼스타코비치 (feat. 쇼펜하우어의 독서론)
1. 국내 독자들에게는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로 잘 알려진 줄리언 반스(Julian Barnes)의 신작 소설 The Noise of Time의 서평이 뉴욕타임스에 올라왔다. 서평을 읽기 전에 두 번 놀랐는데 우선 올 초에 출간된 소설의 서평이 이제서야 올라왔다는 사실 때문이고, 또 한 가지 (더욱 놀랐던) 이유는 서평을 쓴 사람이 음악학자 Richard Taruskin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음악학자가 소설을 읽고 쓴 서평이 한 박자 늦게 올라온… Continue reading 타루스킨과 반스의 쇼스타코비치 (feat. 쇼펜하우어의 독서론)